Spring/Spring Core

Singleton Pattern & Singleton Container

민철킹 2021. 3. 11. 21:40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

클래스의 인터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객체 인스턴스를 2개 이상 생성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한다.

  • private 생성자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임의로 new 키워드를 사용하지 못하게 해야함.

여기에는 Java의 static이라는 개념이 필요하다.

wikidocs.net/228

 

위키독스

온라인 책을 제작 공유하는 플랫폼 서비스

wikidocs.net

 

 

  • 이 클래스가 실행되어 JVM이 읽게되면 먼저 static영역에 instance 객체를 하나 생성한다.
  • 후에 이 객체 인스턴스가 필요하면 getInstance를 통해서만 가져올 수 있다. 이는 항상 같은 인스턴스를 반환한다.
    • 새로 생성하는 것이 아닌 미리 만들어두고 계속 가져다 쓰는 것
  • 또한 다른 클래스에 new SingletonService()를 하지 못하도록 privte을 통하여 새로운 객체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싱글톤 패턴을 사용하는 테스트 코드 작성해보기

  • getInstance를 통하여 객체 인스턴스를 가져오고 참조값을 직접 출력
  • assertThat을 통하여 같은지 검증
  • 미리 만들어준 logic메소드 실행

참조값이 같고, 즉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가져왔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다. 테스트 성공!

+참고로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음. 하지만 Spring을 사용하게되면 Spring이 알아서 Singleton Pattern을 적용하여 인스턴스를 관리해준다.

 

그렇다면 무조건 Singleton Pattern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

 

 

Singleton Pattern의 문제점

  •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는 코드 자체가 많이 들어간다.
  • 의존관계상 클라이언트가 구체 클래스에 의존한다. -> DIP를 위반한다.
  • 클라이언트가 구체 클래스에 의존해서 OCP 원칙을 위반할 가능성이 높다.
  • 테스트하기 어렵다.
    • 처음 1개를 생성할 때 이미 설정이 다 끝나버리기 때문에 유연하게 테스트하기 어려움
  • 내부 속성을 변경하거나 초기화 하기 어렵다.
  • private 생성자로 자식 클래스를 만들기 어렵다.
  • 결론적으로 유연성이 떨어진다.(DI를 적용하기가 어려워짐)
  • 안티패턴으로 불리기도 한다

 


싱글톤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한다. 

스프링 빈이 바로 싱글톤으로 관리되는 빈이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턴 패턴을 적용하지 않아도,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한다.

  • 컨테이너는 객체를 하나만 생성해서 관리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컨테이너 역할을 한다. 이렇게 싱글톤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싱글톤 레지스트리라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의 이런 기능 덕분에 싱글턴 패턴의 모든 단점을 해결하면서 객체를 싱글톤으로 유지

  • 싱글톤 패턴을 위한 지저분한 코드가 추가되지 않아도 된다.
  • DIP, OCP, 테스트, private 생성자로부터 자요롭게 싱글톤을 사용

 

  •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가져온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싱글톤 컨테이너 적용 후

스프링 컨테이너 덕분에 고객의 요청이 올 때 마다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객체를 공유해서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스프링의 기본 빈 등록 방식은 싱글톤이지만, 싱글톤 방식만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요청할 때 마다 새로운 객체를 생성해서 반환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반응형

'Spring > Spring Co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uration  (0) 2021.03.12
Singleton 방식의 주의점  (0) 2021.03.12
Web Application & Singleton  (0) 2021.03.11
스프링 빈 설정 메타 정보 - BeanDefinition  (0) 2021.03.10
다양한 설정 형식 지원  (0) 2021.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