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Implementation)
- 구현이란,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
- problem - thinking - solution
- 흔히 알고리즘 대회에서 구현 유형의 문제란 무엇을 의미할까요?
- 풀이를 떠올리는 것은 쉽지만 소스코드로 옮기기 어려운 문제를 지칭합니다.
- 구현 유형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알고리즘은 간단한데 코드가 지나칠 만큼 길어지는 문제
- 실수 연산을 다루고, 특정 소수점 자리까지 출력해야 하는 문제
- 문자열을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끊어 처리해야 하는 문제
- 적절한 라이브러리를 찾아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
- 일반적으로 알고리즘 문제에서의 2차원 공간은 행렬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 시뮬레이션 및 완전 탐색 문제에서는 2차원 공간에서의 방향 벡터가 자주 활용됩니다.
<문제> 상하좌우
- 여행가 A는 N * 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 위에 서 있습니다. 이 공간은 1 *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가장 왼쪽 위 좌표는 (1, 1)이며, 가장 오른쪽 아래 좌표는 (N, N)에 해당합니다. 여행가 A는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시작 좌표는 항상 (1, 1)입니다. 우리 앞에는 여행가 A가 이동할 계획이 적힌 계획서가 놓여 있습니다.
- 계획서에는 하느의 줄에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하여 L, R, U, D 중 하나의 문자가 반복적으로 적혀 있습니다. 각 문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L : 왼쪽으로 한 칸 이동
- R :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 U : 위로 한 칸 이동
- D : 아래로 한 칸 이동
- 이때 여행가 A가 N * 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을 벗어나는 움직임은 무시됩니다. 예를 들어 (1, 1)의 위치에서 L 혹인 U를 만나면 무시됩니다.
* 문제 조건
-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N이 주어집니다. (1<= N <= 100)
- 둘째 줄에 여행가 A가 이동할 계획서 내용이 주어집니다. (1 <= 이동횟수 <= 100)
- 출력 조건
- 첫째 줄에 여행가 A가 최종적으로 도착할 지점의 좌표 (x, y)를 공백을 기준으로 출력
- 입력예시
- 5
- R R R U D D
- 출력 예시
- 3 4
나의 풀이
n = int(input())
plan_list = list(input().split())
start_point =[1,1]
for i in plan_list:
if i == 'L':
if start_point[1] == 1:
continue
start_point[1] -= 1
elif i == 'R':
if start_point[1] == n:
continue
start_point[1] += 1
elif i == 'U':
if start_point[0] == 1:
continue
start_point[0] -= 1
else:
if start_point[0] == n:
continue
start_point[0] += 1
print(" ".join(map(str,start_point)))
* 문제 해결 아이디어
- 이 문제는 요구사항대로 충실히 구현하면 되는 문제입니다.
- 일련의 명령에 따라서 개체를 차례대로 이동시킨다는 점에서 시뮬레이션 유형으로도 분류디며 구현이 중요한 대표적인 문제 유형입니다.
- 다만, 알고리즘 교재나 문제 풀이 사이트에 따라서 다르게 일컬을 수 있으므로, 코딩테스트에서의 시뮬레이션 유형, 구현 유형, 완전 탐색 유형은 서로 유사한 점이 많다는 정도로만 기억합시다.
* 답안 예시
n = int(input())
x, y = 1, 1
plans = input().split()
# L, R, U, D에 따른 이동 방향
dx = [0, 0, -1, 1]
dy = [-1, 1, 0, 0]
move_types = ['L', 'R', 'U', 'D']
# 이동 계획을 하나씩 확인
for plan in plans:
#이동 후 좌표 구하기
for i in range(len(move_types)):
if plan == move_types[i]:
nx = x + dx[i]
ny = y + dy[i]
# 공간을 벗어나는 경우 무시
if nx < 1 or ny < 1 or nx > n or ny >n:
continue
x, y = nx, ny
print(x, y)
<문제> 시각
- 정수 N이 입력되면 00시 00분 00초부터 N시 59분 59초까지의 모든 시각 중에서 3이 하나라도 포함되는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예를 들어 1을 입력했을 때 다음은 3이 하나라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세어야 하는 시각입니다.
- 00시 00분 03초
- 00시 13분 30초
- 반면에 다음은 3이 하나도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세면 안되는 시각입니다.
- 00시 02분 55초
- 01시 27분 45초
* 문제 조건
-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정수 N이 입력됩니다. (0 <= N <=23)
- 출력 조건 : 00시 00분 00초부터 N시 59분 59초까지의 모든 시각중에서 3이 하나라도 포함되는 모든 경우의 수
- 입력 예시 : 5
- 출력 예시 : 11475
* 문제 해결 아이디어
- 이 문제는 가능한 모든 시각의 경우를 하나씩 모두 세서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 하루는 86,400초이므로, 00시 00분 00초부터 23시 59분 59초까지의 모든 경우는 86,400가지 입니다.
- 24 * 60 * 60 = 86,400
- 따라서 단순히 시각을 1씩 증가시키면서 3이 하나라도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면 됩니다.
- 이러한 유형은 완전 탐색(Brute Forcing)문제 유형이라고 불립니다.
-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검사해보는 탐색 방법을 의미합니다.
n = int(input())
count = 0
for i in range(n+1):
for j in range(60):
for k in range(60):
if '3' in str(i) + str(j) + str(k):
count += 1
print(count)
<문제> 왕실의 나이트
- 행복 왕국의 왕실 정원은 체스판과 같은 8 * 8 좌표 평면입니다. 왕실 정원의 특정한 한 칸에 나이트가 서 있습니다. 나이트는 매우 충성스러운 신하로서 매일 무술을 연마합니다.
- 나이트는 말을 타고 있기 때문에 이동을 할 때는 L자 형태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정원 밖으로는 나갈 수 없습니다.
- 나이트는 특정 위치에서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수평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직으로 한 칸 이동하기
- 수직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평으로 한 칸 이동하기
- 이처럼 8 * 8 좌표 평면상에서 나이트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왕실의 정원에서 행 위치를 표현할 때는 1부터 8로 표현하며, 열 위치를 표현할 때는 a부터 h로 표현합니다.
- c2에 있을 때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6가지 입니다.
* 문제 조건
-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8 * 8 좌표 평면상에서 현재 나이트가 위치한 곳의 좌표를 나타내는 두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된다. 입력 문자는 a1처럼 열과 행으로 이뤄진다
- 출력 조건
- 첫째 줄에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
- 입력 예시
- a1
- 출력 예시
- 2
* 문제 해결 아이디어
- 나이트의 8가지 경로를 하나씩 확인하며 각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지 확인
- 리스트를 이용해 8가지 방향에 대한 방향 벡터를 정의
* 답안 예시
#현재 나이트의 위치 입력받기
input_data = input()
row = int(input_data[1])
column = int(ord(input_data[0])) - int(ord('a')) + 1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8가지 방향 정의
steps = [(-2,-1),(-1,2),(1,-2),(2,-1),(2,1),(1,2),(-1,2),(-2,1)]
#8가지 방향에 대해 각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지 확인
result = 0
for step in steps:
next_row = row + step[0]
next_column = column + step[1]
#해당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다면 카운트 증가
if next_row >= 1 and next_row <= 8 and next_column >= 1 and next_column <=8:
result += 1
print(result)
<문제> 문자열 재정렬
- 알파벳 대문자와 숫자(0~9)로만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이때 모든 알파벳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이어서 출력한 뒤에, 모든 숫자를 더한 값을 이어서 출력합니다.
- 예를 들어 K1KA5CB7이라는 값이 들어오면 ABCKK13을 출력합니다.
* 문제 조건
-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하나의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1 <= S의 길이 <= 10,000)
- 출력 조건
- 첫째 줄에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답을 출력합니다.
- 입력 예시1
- K1KA5CB7
- 출력 예시1
- ABCKK13
- 입력 예시2
- AJKDLSI412K4JSJ9D
- 출력 예시2
- ADDIJJJKKLSS20
나의 풀이
s = input()
alpha_list = []
num_list = []
for i in s:
if i.isalpha():
alpha_list.append(i)
else:
num_list.append(i)
alpha_list.sort()
answer = "".join(alpha_list) + str(sum(map(int,num_list)))
print(answer)
* 문제 해결 아이디어
- 문자열이 입력되었을 때 문자를 하나씩 확인
- 숫자인 경우 따로 합을 계산
- 알파벳인 경우 별도의 리스트에 저장
- 결과적으로 리스트에 저장된 알파벳을 정렬해 출력하고, 합계를 뒤에 붙여 출력하면 정답
* 답안 예시
data = input()
result = []
value = 0
for x in data:
if x.isalpha():
result.append(x)
else:
value += int(x)
result.sort()
if value != 0:
result.append(str(value))
print("".join(result))
반응형
'Algorithm > algorithm_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나믹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 (0) | 2021.03.18 |
---|---|
이진 탐색 (0) | 2021.02.14 |
DFS & BFS (0) | 2021.01.31 |
Greedy Algorithm (탐욕법) (0) | 2021.01.25 |
해싱 (0) | 2021.01.21 |